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세금정보

2023년 세법개정안 발표_세법개정 상세 내용 3. 미래 대비

by 부동산 시작하는 김씨 2023. 7. 31.
반응형

안녕하세요. "부동산 시작하는 김씨"입니다.

정부는 2023년 7월 27일(목)에 세제발전심의위원회를 개최하여 「2023년 세법개정안」을 확정·발표하였습니다.

지난번 세법개정안 "1편 경제활력 제고", "2편 민생경제 회복"에 이어서 "3편 미래 대비"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2023.07.29 - [부동산/세금정보] - 2023년 세법개정안 발표_세법개정 상세 내용 1. 경제활력 제고

2023.07.30 - [부동산/세금정보] - 2023년 세법개정안 발표_세법개정 상세 내용 2. 민생경제 회복

 

여기 포스팅 내용은 기획재정부에서 보도자료 중에 첨부자료로 있는 "2023년 세법개정안" 내용을 위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 2023년 세법개정안_미래 대비

 

◎ 미래 대비

◇ 결혼·출산·양육 및 노후대비, 기회발전특구에 대한 세제지원 등을 통해 인구·지역 위기 대응역량 강화

 

1) 결혼·출산·양육 지원

□ 혼인에 따른 증여재산 공제 신설 (상증법)

※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23.7.4.)에서 기본방향 발표

○ 혼인신고일 전후 각 2년 이내(4년간)에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은 1억원 추가공제

증여재산-공제한도

□ 자녀장려금 대상 및 지급액 확대 (조특법)

※ 「저출산·고령사회 정책과제 및 추진방향」(’23.3.28.)에서 기본방향 기발표

 자녀장려금 소득상한 금액을 대폭 상향(4,000→7,000만원)하고, 최대지급액 인상(자녀 1인당 80→100만원)

 

□ 출산ㆍ양육수당 등에 대한 지원 강화 (소득법·소득령, 법인령)

출산·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상향(월 10→20만원)

※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23.7.4.)에서 기본방향 발표

* 근로자 또는 배우자의 출산이나 6세 이하 자녀의 보육과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받는 급여로서 월 10만원 이내의 금액

② 근로자 출산·양육 지원금의 손금·필요경비 인정 근거 마련

※ 「저출산·고령사회 정책과제 및 추진방향」(’23.3.28.)에서 발표

 

□ 영유아 의료비 세제지원 강화 (소득법)

 영유아(0~6세)에 대한 의료비 세액공제(15%) 한도* 폐지

* (현 행) 연 700만원 (본인·장애인·65세이상자 한도 없음)

 산후조리비용에 대한 의료비 세액공제(한도: 연 200만원) 요건 완화

* (현 행) 총급여액 7천만원 이하 근로자 → (개정안) 모든 근로자

 

2) 청년 자산형성 및 노후대비

※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23.7.4.)에서 기본방향 발표

 

청년도약계좌* 등 가입요건 완화 (조특법)

* 소득 7,500만원 이하 청년에 대해 이자·배당소득 비과세 + 정부지원금(월납입금액 3~6%)

 청년도약계좌 등 가입 시 육아휴직급여(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도 가입 허용

 

청년형 장기펀드 소득공제* 전환가입 허용 (조특법)

* 청년형 장기펀드(의무보유 3년) 납입금액(연 600만원 한도)의 40% 소득공제

 청년형 장기펀드 간 전환가입을 허용하고 소득공제 특례 적용기한 1년 연장(∼‘24.12.31.)

 

장병내일준비적금 비과세* 적용기한 연장 (조특법)

* 군복무기간 중 가입하여 저축하는 장병내일준비적금(월 40만원 한도) 이자소득 비과세

 복무 중 목돈 마련 지원을 위해 장병내일준비적금 비과세 특례 적용기한 3년 연장(∼‘26.12.31.)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비과세* 적용기한 연장 (조특법)

* 무주택 청년의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이자소득 비과세(500만원 한도)

 청년의 주택마련 지원을 위해 주택청약종합저축 비과세 특례 적용기한 2년 연장(∼‘25.12.31.)

 

□ 노후 연금소득에 대한 세부담 완화 (소득법)

 노후생활 안정 지원을 위해 연금저축, 퇴직연금 등 사적연금소득 분리과세* 기준금액 상향(연 1,200→1,500만원)

* 연금 수령액에 대해 3~5% 저율 분리과세 선택 가능

 

3) 지역균형 발전

기회발전특구*에 대한 세제지원 신설 (조특법)

※ 구체적인 지원방안은 별도 발표 예정

* 비수도권에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재정·세제지원, 규제특례 등 패키지로 지원(「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

① (이전단계) 특구 이전에 따른 세부담 완화를 위해 이전기업에 대한 양도세 등 과세특례 부여

② (운영단계) 특구 창업(또는 사업장 신설) 기업에 대해 소득·법인세 감면을 신설하여 특구 내 기업운영 지원

③ (투자단계) 민간자본 유입 촉진을 위해 기회발전특구펀드* 이자·배당소득에 대해 세제 지원

* 펀드 자산의 일정 비율 이상을 특구 입주기업·인프라 등에 투자하는 펀드

 

□ 농어촌특별세 유효기간 10년 연장 (농특법)

 농어촌 소멸위기 대응 및 농어업 경쟁력 강화 사업의 소요재원 확충을 위해 농어촌특별세 유효기간 10년 연장(~‘34.6.30.)

 

□ 지역특구 세액감면 적용기한 연장 (조특법)

○ 연구개발특구, 첨단의료복합단지 등 지역특구 내 창업(또는 사업장 신설) 기업 등에 대한 소득·법인세 감면* 적용기한 2년 연장(∼‘25.12.31.) * 3년 100% + 2년 50%


1) 결혼·출산·양육 지원

  • 혼인에 따른 증여재산 공제 신설
  • 자녀장려금 대상 및 지급액 확대
  • 출산·양육 지원금의 손금·필요경비 인정 근거 마련

2) 청년 자산형성 노후대비

  • 청년도약계좌 가입요건 완화
  •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저축 등 비과세 적용 연장
  • 연금소득 분리과세 기준금액 상향

3) 지역균형 발전

  • 기회발전특구에 대한 세제지원 신설
  • 농어촌특별세 유효기간 10년 연장

※ 첨부자료

(보도자료) 2023년 세법개정안 발표.pdf
0.10MB
1. 2023년 세법개정안.pdf
0.87MB
2. 2023년 세법개정안 상세본.pdf
1.53MB
3. 2023년 세법개정안 문답자료.pdf
1.37MB
2023 세법개정안 인포그래픽.pdf
0.30MB

 

 

※ 출처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기획재정부

2023년 세법개정안 발표

www.moef.go.kr

 

 

"오늘 하루도 잘 풀리실 거예요!" - 부동산 시작하는 김씨
반응형